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시건축

지하주차장 설계시 차로폭, 경사로구배, 연석설치 폭 지하주차장 설계는 거의 공식이 정해져 있는 것처럼 아주 기본적인 설치폭들이 정해져 있다. 지하구조물은 지상과 다르게, 규모를 크게 가져가면 그만큼 많은 굴토를 해야하기 때문에 단순히 지상층 공사비가 늘어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게 공사비가 상승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설계가 요구된다. 우선 주차방식은 당연히 직각주차방식이 된다. 주차구획의 폭 따라서 기본적으로 양방향 직각주차시에는 5m (주차)x 6m (차로) x 5m (주차) 가 된다. 주차장 단면 높이 주차장 단면상 높이는 다음과 같다. 차량통행로의 높이 : 2.3m 이상 주차구획의 높이 : 2.1m 이상 경사로 (램프) 기본폭 및 구배 경사로 종류 경사도 1차선 2차선 직선형 17% 이하 (1/6) 3.3m 이상 6m 이상 곡선형 14% 이하 (1/7).. 더보기
지하층 배수판 상세도 - 5 (배수판 트랜치 단면) 그림을 조금 잘못그리긴 했는데, (배수판 간격조절을 잘못함) 배수판홈 두개 사이에 모르타르마감을 하고 그 위에 트랜치를 설치한다. (그림상 그렇다는 거고 시공때는 상관없음)최하층 콘크리트부터 순서대로 보면골조 + 침투성방수 + 70mm배수판 + 무근 + 마감 대략 이런 순서다.물론 단면상에 보이지는 않지만 트랜치는 집수정으로 연결된다. 더보기
주차장 계획하기 (사이즈별 주차댓수, 한대당 필요한 면적) 대지에 건물과 외부시설물계획을 할때, 주차장의 크기와 위치는 상당히 중요하다.법정 주차댓수에 맞게 주차계획을 하는데, 어떤 사이즈로 만드냐에 따라서나머지 건물의 배치와 외부공간이 완전히 바뀔수 있기 때문이다. 주차댓수에 따라 주차장별 typical type을 외우고 있으면, 계획이 한결 편해진다.주로 주차댓수 10대, 20대, 30대 이상 이렇게 세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위 경우는 10대와 20대의 주차장 사이즈와 모양을 그려보았다.주차는 우선적으로 직각주차를 기본으로 했는데, 좁은 땅에 가장 많은 댓수를 넣을 수 있는 계획이다. 10대의 경우 물론 양방향도 가능하겠지만 그림처럼 한쪽으로만 배치할 경우[11x25m]로 보면 되겠다. 맨 끝부분에 주차를 위해 최소 2.5미터 정도의 여유가 더 필요하기 때.. 더보기
토지합필과 필지분할로 땅값 올리기 건물을 짓기 위해 좋은 땅은 역시 잘 정리된 직사각형 땅이다.물론 기본적으로 4m 도로에 접해 있는 대지이어야 한다.경매로 주변보다 매우 저렴한 가격의 매물이 나왔다면, 다 이유가 있는 땅일것이다. 다양한 요인이 있겠지만, 만약 그게 단순히 땅의 모양이나 접도조건 때문에 저평가 받고 있는 땅이라면토지합필이나, 분할로 성형수술이 가능하므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대지의 합필, 필지의 분할 동일한 지목이라면 얼마든지 합필과 분할이 가능하다.물론 대지의 합필보다는 분할시에 제약조건이 더 많은게 사실이다.최소분할면적이 있어서 아무리 쪼개도 더이상 쪼갤수 없는 면적이 있고,또 분할된 대지가 맹지가 되지 않게 만들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대지합필 후 원하는 모양대로 분할하여 되팔게 되면, 다음의 이점이 있다.1).. 더보기
'시가화예정용지'와 '시가화조정구역'의 차이점 도시의 발전을 대비해 필요한 개발 공간을 미리 확보해 두는 것이 시가화 예정용지다. 도시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땅이 필요해서 미리 준비해 둔다.보통 시가화 예정용지가 되는 곳은 도시지역의 자연녹지지역과 관리지역의 계획관리지역, 개발진흥지구 중 개발계획이 아직 수립되지 않은 지역 등이다. 시가화 예정용지는 결국 도시계획이 이루어질 곳이기 때문에 토지투자에 있어 금광과 다름없다. '시가화 예정용지'와 '시가화 조정구역'의 차이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이 땅은 곧 도시개발이 이루어질 땅이니 구입만 해두면 큰 돈이 된다'는 말을 듣는다면,반드시 확인해 봐야 할 것이 있다. '시가화 예정용지'인지 '시가화 조정구역'인지를 말이다. 확인해 보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시, 군, 구청의 도시과를 .. 더보기
내 땅에 건물을 얼마나 지을수 있을까? 알아두면 유용한 건축법규 - (1) 도로 모퉁이 가각전제 내가 가진 대지에 건물을 짓기 위해고려해야 할 문제가 한둘이 아니다.오늘은 우선 도로에 관련된 이야기이다.내 땅에 지을수 있는 건물의 규모를 알기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이 몇가지 있는데그중에 하나가 도로모퉁이 '가각전제' 이다.어찌보면 너무나 생소한 단어일 수도 있지만, 간단히 설명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가각전제'란? 예를들면, 내가 가진 땅이 사거리 모퉁이에 있는 대지라고 가정해 보자.차량이 내 모퉁이 대지를 돌아서 옆길로 들어서는데, 모퉁이가 직각이라면,반대편에서 오는 차량이 보이지 않아 충돌할 수 있다. 그래서 적절한 시선확보를 위해 각진 모서리를 둥글리는 규정이 바로 모퉁이 '가각전제'이다. '가각전제' 취지 가각전제에서의 기본 조건은 다음과 같다.1) 넓은 도로일수록 더 많은 가각전제가.. 더보기
[건축상세] 지하층 배수판 상세도 그리기 (단차부분) 건물 지하층 배수판 상세도 작성할 경우 중에서 단차가 있는 부분의 상세는 어떻게 그려야 할까?바닥마감에서부터 순서는 다음과 같다.1) 지정마감2) 무근콘크리트3) THK 70 배수판4) 지정방수 (침투성방수)5) 바닥슬라브 (콘크리트) 더보기
건축물의 멸실신고 및 멸실비용 땅 위에 새로운 주택을 짓기 위해서는 기존 건축물을 철거해야 하는데,철거는 내 임의대로 결정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우선 건축을 철거하기로 했다면 7일 전까지 해당 지자체에 건축물철거멸실신고를 해야 한다. 철거신고와 함께 해체공사계획서도 함께 제출해야 한다. 그리고 철거 건축물의 면적이 200제곱미터 (60평) 이상인 경우에는 철거신고 전에 석면조사기관에 의뢰해 석면조사 결과 사본을 같이 제출해야 한다. 만일 석면함유 건축물인 경우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의 안전한 제거를 위해 전문 업체가 공사를 시행해야 한다. 전문업체와 석면조사기관은 고용노동부의 석면관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철거공사가 완료되면 폐기물 처리 내역과 관련 사진을 철거신고 접수기관으로 제출한다. 만약 건축물이 제해로 인해 멸실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