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건축 상세도 모음] - 천장마감 상세도 THK9.5 석고보드2겹 THK15 암면흡음택스 컬러알루미늄 천정판 더보기
6.0미터 모듈안에서 화장실 계획하기 (8가지 타입) 평면계획에서 코어계획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는 화장실이다.모듈계획이 끝나고, 코어까지 계획하고 나면,화장실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화장실 변기갯수가 어느정도 정해지면, 모듈 안에서어느정도 계획안을 잡을 수 있는데, 워낙에 사이즈에 따라 구성대안이 많기 때문에,기본적인 모듈 내에서 프로토타입을 기억하고 있으면변기갯수에 따라 얼마든지 늘리고 줄일 수 있다 즉, 다음 8가지 화장실 타입을 외우고 있으면,어떤 화장실계획도 쉽게 잡을 수 있다. ​ 더보기
[건축 상세도 모음] - 벽체마감 상세도 기계실, 공조실 마감상세THK50 흡음판넬지정벽체​​ 일반벽체 마감상세지정벽체THK18 시멘트몰탈비닐페인트​ ​ 화장실 벽체마감상세지정벽체우레탄계 도막방수 (H=1,200 / 샤워실 H=1,800)시멘트몰탈자기질타일 (200x250 or 600x150) 더보기
[건축 상세도 모음] - 바닥마감 상세도 지하층 거실 바닥 마감 상세 구성1) 구체침투성방수2) 배수판 (H=45)3) THK 202 무근콘크리트 쇠흙손마감(와이어매쉬 #8 - 150x150)4) THK 3 비닐무석면타일 or 스톤코트 일반 거실 바닥 마감 상세1) THK27 시멘트몰탈2) THK3 PVC계 타일 (비닐무석면타일) 억세스플로어 마감 상세1) 콘크리트/쇠흙손마감2) 분진방지용 페인트3) OA Floor4) THK3 전도성비닐타일 더보기
계단 설계 - 계단의 적정 단 높이 및 단 너비, 계단 최소폭, 계단참 최소폭 결정 계단 설계를 할 때 계단의 단 너비와 단 높이는 건축물의 층고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3.5m 층고인 건물이면, 대략 단 높이를 180 정도라고 가정하면19.4단으로 약 20단 정도가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럼 다시, 3,500/20=175로 계단의 단 높이를 결정한다.​여기서 일반적인 단 높이를 a라고 하면 a=170~175 정도가 일반적이다.단 너비를 b라고 하면, b=260~280 정도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a+b=450 정도가 이상적인 단과 너비의 관계라 할 수 있다. ​계단과 참의 최소폭은 1,200으로 한다.(두사람이 교행한다고 볼때 1인당 600mm가 필요하므로 600x2=1,200) 더보기
건축물 실 용도별 천장고 (반자높이) 각 실의 천장고는 당해 기능에 적합하도록 적정 천장고를 확도하도록 해야 한다. 실의 용도에 따라 기능적으로 요구되는 높이가 다양하고 다음의 기준에 따라 계획하는 것이 좋다.​1) 거실 (법정) : 2.1m 이상2) 거실 (인간의 거주) : 2.4m 3) 사무실 : 2.5~2.7m4) I.B.S : 2.7~3.0m (150mm Access Floor 필요)5) 교실 : 2.7~3.0m6) 식당 : 3.0m 이상7) 회의실 : 3.0m 이상 (잔향시간 고려하여 천장고 결정)8) 다목적실 : 4.0~5.0m 9) 강당 : 6~9.0m (잔향시간 고려하여 천장고 결정)-법규 : 기계환기 장치가 없는 관람석 또는 집회실의 바닥 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4.0m 이상의 천장고 확보 (노대아랫부분은 2.7m.. 더보기
둘 이상의 용도지역ㆍ용도지구ㆍ용도구역에 걸치는 대지에 대한 건폐율 및 용적률 적용 기준은? 둘 이상의 용도지구에 걸쳐서 짓게 되는 건축물의 건폐율과 용적률의 적용에 대해서 살펴보자. (몇 번을 찾아보고 알고 있었지만, 항상 헷갈리기 때문에 이번에 확실히 정리해 두려고 한다) ​ 예를 들면, 자연녹지지역과 일반주거지역으로 이루어진 대지에 건물을 걸쳐서 짓는다고 생각해 보자 그렇다면 다음의 옵셥들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 1) 건물이 걸치는 필지들 중 가장 작은 부분의 크기가 330제곱 미터 (도로변 띄 모양의 상업지역은 660제곱 미터) 이하인 경우 2) 건물이 걸치는 필지들 중 가장 작은 부분의 크기가 330제곱 미터 이상인 경우 ​ 1)의 경우에는 각 용도지역의 건폐율과 용적률의 가중평균값을 구하여 산정한다. 그 밖의 사항들은 대기 중 가장 넓은 면적이 속하는 용도지역 등에 관한 규정을 적.. 더보기
건축도면 실무 - 천장도 그리기 (등간격 배치) 실시설계의 꽃은 당연 '단면상세'라고 할 수 있겠지만,사실 단면상세도는 건축에서만 혼자서 그려내면 되는 부분이다 보니, 크게 어렵지는 않다.​기계나 전기 그리고 소방 공종과 함께 긴밀히 협업해야 하는 파트는 역시 '천정'이다.평면도에 비해서 천장도에는 많은 기계, 전기, 소방 요소들이 들어간다.예를들면, 등기구나 디퓨져, 스프링클러, 감지기, 스피커 등 실링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수많은 설비, 전기적인 요소들이 천장도상에 표현된다. ​보통 천정도는 건축공정 혼자서 하기보다, 여러 공종별 업체들과 협업이 필요한데,다음의 순서로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1) 건축 : 천정 마감재 크기에 따른 그리드 작도 (예를들면 T바나 M바에 따라 1200x600, 혹은 600x600 등 그리드를 나눈다) 이때, 고려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