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울도시기본계획2040

서초구 이곳을 주목하라! (앞으로 20년 이내에 가장 발전할 곳은?) 도시·건축 그리고 부동산우리 모두는 어디든 하나의 도시 안에 살고 있다. 도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변화해야 하고 혁신을 거듭해야만 한다. 산업이 발전하고 인구가 늘어야만 도시는 수평적으로나 수직적으로 팽창해 나갈 수가 있다.우리가 다루는 부동산이라고 하는 자산은 이러한 도시의 변화에 대단히 ‘종속적’이며 도시의 운명이 곧 부동산의 운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강력한 지배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내가 현재 살고 있거나 혹은 앞으로 살아가고 싶은 도시의 부동산의 가치를 알고 싶다면 당연히 먼저는 그 도시가 어떠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순리일 것이다.도시는 건축과 다르게 휴먼스케일이 아니다. 건축물은 사람의 눈높이에서도 볼 수 있지만, 도시는 사람의 눈높이에서의 관망이 제한적이.. 더보기
서울의 중심지 위계 순위 (1) 3도심권 - 도심권에 속하는 행정동 혹은 법정동은 어디일까? 본 포스팅은 서울의 모든 행정동들의 향후 개발 방향과 전망 그리고 개발압력에 따른 잠재력을 측정 평가하는 ​ 플라폼건축연구소의 소위 '도시 잠재력 평가' 항목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1) 도시 위계 분석 가운데 도심권에 영향을 받는 행정동 혹은 법정동을 구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초반부터 구구절절 뭔가 딱딱하고 어려워 보이는 말들만 늘어놓았는데.. ​ 그렇다고 어려운 내용은 아니니 긴장 푸셔도 됩니다. 쉽게 얘기해서 각 도시별로 도시의 원활한 개발을 위해 (한정된 자원으로 모든 곳에 쏟아부을 수는 없으므로) 5년 혹은 10년에 한 번씩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 도시 중심지와 그 하위의 주요 거점지들을 설정합니다. ​ 우리가 알고 싶은 서울의 경우 모두 75개의 거점지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첫째는 .. 더보기